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이 발전하면서 일상 곳곳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에서도 첨단기술과 융합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가 급부상하고 있다.
그간 전통 의료에서 다소 멀었던 의사와 환자 간의 거리를 디지털 헬스케어로 좁히는 한편, 치료와 회복을 빠르게 돕는 첨단기술이 의료계에 접목되면서 정부도 진보된 의료 서비스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대대적인 지원 계획을 공개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은 2021년 2603조원에서 2027년 3770조원으로
연평균 17%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같은 기간 국내 시장도 38조9000억원에서 54조6000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첨단 헬스케어 분야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에 돌입했다. 우선
보건복지부는 근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활용에 필요한 실증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해 ‘의료기관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실증 및 도입(R&D) 사업에 선정된 31개
과제 지원을 실시했다.
해당 과제는 ▲혁신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실증 ▲비대면 의료서비스 활성화 기술 실증 ▲홈스피탈(Home+Hospital) 구현 기술 실증 등 3가지 분야로 구성됐으며, 주관·공동·실증을 위해 135개 의료기관과 기업이 참여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시대를 맞아 혁신의료기기 지정을 확대하고 허가특례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선다.
식약처는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제품이 확증임상시험 등 허가를 준비 중인 경우 우선심사 등 허가특례를 적용해 신속하게
제품화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식약처는 부처 간 협력을 바탕으로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제품이 허가 이후 원활하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 일환으로 제품화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달청에서 운영 중인 혁신조달제도에서 혁신의료기기가
혜택(인센티브)을 받을 방법을 모색해 추진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도 디지털 헬스케어 수출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공개했다. 최근
산업부는 수출현장지원단 간담회를 개최, 인증·인허가 정보
공유와 해외 무역관을 활용한 주요국 현지에서의 규제 대응을 돕고, 수출 바우처 사업을 활용해 기업들에게
힘을 보탤 것을 약속했다
또 해외 컨퍼런스·IR(투자설명회)로드쇼
등 현지 레퍼런스 축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미국·일본
등 주요국 의료기관과의 국제공동연구 등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첨단바이오헬스 R&D 예산을 확대해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에 나섰다. 과기부가 발표한 내년도 국가R&D사업
예산 배분·조정결과를 보면 첨단바이오는 직전 대비 16.1% 증가한 9626억원이 투입된다.
AI, 사이버보안, 양자, 반도체, 이차전지, 우주
등 7대 핵심분야 중 바이오헬스가 투입비용이 가장 높다.
범부처 바이오빅데이터 개방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확대에 청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올해 6월 복지부, 과기부, 산업부, 질병청 등이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시행한 범부처 시범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2만5000명분 연구자원이 전면 개방·제공된다.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은 임상·유전체 데이터를 통합·생산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개발(R&D)에
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고안됐으며, 2020년 5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추진됐다.
추진 과정에서 7084명분 연구자원이 지난해 7월 1차로 공개됐으며, 올해
나머지가 공개되면서 모두 2만5000명에 달하는 연구자원이
모두 공개됐다.
개방되는 연구자원은 시범사업을 통해 신규로 수집한 희귀질환자 DB(누적 1만4905명분 임상·유전
정보 및 인체유래물)와 선행됐던 일반연구과제에서 기탁받은 임상·유전체
자료 DB(누적 9797명분 임상·유전 정보)다.
해당 연구자원은 대규모 전장유전체 데이터 활용 희귀질환 진단 고도화, 한국인
전장유전체 기반 당뇨·고혈압 발생과 합병증 연관 유전인자 탐색을 통한 병인 이해 및 질환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연구자원을 제공받고자 하는 연구자는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연구자원 제공 신청을 해야 하며, 이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부 지원 확대는 윤석열 정부가 바이오헬스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기대감이 크다는 방증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있는 K-첨단기술과 의료영역 융합을 통해 한국형
헬스케어를 제2의 반도체로 만들기 위한 정부의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활발한 R&D도 중요하지만 정부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한 영역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다"며 "미국, 일본, 중국 등 선진국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과감한 도전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