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케어 핵심은 ‘데이터’…예측•정밀의료 씨앗된다

김치원 카카오벤처스 파트너가 1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 코리아 2023'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이춘희 기자]

"환자에게 상황이 생기기 전의 데이터를 모을 수 있다면 환자에게 직접 도움이 될 수 있다. 데이터를 모아 잘 분석한다면 질병이 생기기 전에 개입할 수 있는 의학적 지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

김치원 카카오벤처스 파트너는 1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 코리아 2023' 강연에서 "디지털 헬스케어의 주된 용도는 의료 접근성 향상, 의료의 질 향상, 비용 절감과 신기술을 창출해내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특히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 의료까지 나아갈 수 있다 강조했다.

김 파트너는 디지털과 데이터가 만났을 때 생겨나는 파급력의 단적인 예로 혈당 측정을 들었다. 그는 "기존의 혈당 측정은 환자가 열심히 측정하지 않고, 측정하더라도 기록을 하지 않고, 기록을 하더라도 이를 적은 수첩을 병원에 안 가져오는 경우가 많았다"고 봤다. 하지만 단순히 블루투스를 통해 혈당 수치가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입력되기만 하더라도 "스마트폰을 놓고 왔다는 걸 깨닫는 순간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가지 않느냐" "병원으로 100% 데이터가 오게 된다"고 짚었다. 김 파트너는 한발 더 나아가 혈당 측정과 결합한 인슐린 펌프를 통한 일종의 '인공 췌장', 심방세동을 2주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계, 병원이 아닌 실제 가정환경에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례 등을 추가로 디지털 헬스케어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예로 들었다.

김 파트너는 이를 종합해 봤을 때 "과거에는 모든 게 병원에서 이뤄졌고, 데이터가 쌓이더라도 환자를 위해 잘 쓰는 경우가 드물었다" "이제는 병원 밖에서 데이터를 측정해 실시간 분석하고 다시 치료적 개입에 쓰이는 순환이 잘 돌아간다면 그때그때 사람들을 도울 수 있게 된 것"이라고 디지털 헬스케어의 의의를 설명했다.

김 파트너는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이 이어져 신기술 창출까지 나아갈 경우 '예측 의료'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그는 "별도의 동작 없이 심전도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이 생긴다면 심근경색 후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해당 환자의 '평소 데이터'까지 알 수 있게 된다" "이를 분석하면 5분 후에 심근경색이 생길 수 있다는 식의 경고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봤다.

다만 이 정도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많은 난관이 있을 것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김 파트너는 "사람들은 당장 자신에게 무슨 가치가 있는지 보여주기를 원한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기기 착용을 요청했을 때 '뭐가 좋나요?'라고 물어본다면 '나중에 심근경색을 예측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어요"라고 할 수밖에 없다"고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국가가 지원에 나서는 등의 노력이 병행돼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류재준 네이버 클라우드 총괄이사가 1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 코리아 2023'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이춘희 기자]

앞서 강연에 나선 류재준 네이버 클라우드 총괄이사 역시 앞으로의 디지털 헬스케어에 있어 데이터가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한 정밀 의료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류 이사는 당뇨의 예를 들며 "당뇨는 유전, 발병 시기, 질환의 상태, 합병증 유무 등으로 여러 케이스가 생겨 많은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 "데이터를 레퍼런스 삼아 당뇨 발병을 예측하고, 동일한 생활 습관을 지닌 사람에게는 기존에 효과가 있었던 치료법을 추천해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 이사는 이 같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표준화와 클라우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각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이 다 다르다" "데이터를 표준화해서 모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P-HIS 사업, 보건복지부의 '마이 헬스웨이' 사업,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등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을 통해 의료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데이터를 외부에 반출할 수 없고 안전하게 보관하는 클라우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결과만 갖고 나갈 수 있게 하고, 이때도 데이터 소유자로부터 허락받고 나가게 하는 것"이라고도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