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을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선정하며 한국이 바이오의약품
선도국임을 인정받고 있다.
인력양성 허브는 중·저소득국가의 백신 자급화를 위해 백신과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중심 기관을 말한다.
정부는 2곳의 바이오 생산공정 공공실습장을 확충하고 전담 훈련시설
개소 계획을 세우며 국내 백신 산업의 중장기적인 발전 토대가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해 한국의 해외 백신 의존도가 크게 증가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시장 변화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백신 수입은 2020년 3.4억 달러에서 2021년 23.5억 달러로 591% 급증했다. 코로나19 백신 수입의 영향이다. 지난 해 백신 수출은 5.1억 달러를 기록하며, 18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냈다.
이 중 벨기에 수입이 2020년 4000만 달러에서 2021년 13.7억 달러로
급증했다. 코로나19 백신 수입 물량 급증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수출입 국가의 양상도 변해 그간 주요 수출국은 남미, 동남아 국가였으나
작년에는 호주, 네덜란드 등이 포함됐다. 코로나 백신의 위탁생산
물량 수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백신 산업을 육성하려면 정부가 R&D, 인력양성 외에도
획기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보고서에서 “국내 백신 산업 발전을
위한 획기적인 지원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다양한 고부가가치
백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해외기업 인수, 해외기술 도입 등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도 세제혜택 등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백신 주권을 확립하기 위한 지원 또한 필요하다”며 “주권을 확보하려면 독자 개발한 백신이 필요하고 그러려면 차세대
플랫폼 구축을 위해 규모 있는 바이오펀드를 조기 조성해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