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해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 시장에 발맞춰, 국내 산업의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데이터 인프라의 구축이 보건의료산업에서도 주요 이슈로 떠오르며 인공지능, 모바일 헬스, 정밀 의료 등으로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정보 분석기관 CB Insight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투자금은 사상 최대 규모인 57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320억 달러에 비해 79% 늘어난 수치다. 디지털 헬스 분야의 스타트업에 대한 1억 달러 이상의 대형 투자 건수는 154건으로 전년(78건) 대비 두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같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디지털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과 동시에 코로나로 인한 의료 서비스 전달 모델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세계 디지털 헬스 산업의 규모는 1520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 반도체시장의 약 35%에 해당하는 규모다. 오는 2025년에는 디지털 헬스 산업이 5080억 달러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디지털 헬스의 영역은 국가 및 산업에서 디지털 헬스와 관련된 주요 상품・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다. 다만, 출처별 기관의 성격과 국가별 제도가 달라 범주에 차이가 있다.
디지털 헬스 산업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술과 구성요소로 나뉜다. 기술별 분류는 디지털 헬스분야에 도입돼 활용되고 있는 영역이다.
대표적으로 의료 인공지능, 웨어러블 기기, 빅데이터, 유전자검사, 모바일 헬스, 텔레헬스, 원격모니터링, 디지털 치료제, 개인건강정보, 사이버보안 등이 있다. 구성요소별 분류는 기술의 형태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구분한다.
디지털 헬스 시장의 주도국인 미국의 경우, 디지털 헬스 기업 중 소프트웨어 업체가 38.3%로 가장 많았다. 이어 텔레헬스케어(원격진료,원격 모니터링 등) 분야 기업이 25.3%로 두 번째로 높았다. 현재 미국 디지털 헬스 기업 4개 중 1개는 원격 진료·모니터링 분야와 관련돼 있다.
디지털 헬스 기업의 대부분(73.2%)이 치료와 모니터링 등의 환자관리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예방분야는 23.8%로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역시 모바일 헬스, 원격의료, 의료 인공지능(AI), 유전체분석 등의 주요 분야 혹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지능형센서 등의 주요 융합 기술 등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융합기술별로는 빅데이터(32.2%), 유전자기술(14.8%), 바이오센서(12.9%), 모바일(12.8%)순으로 기업 비중이 높았다.
"성장 예상 불구, 산업 활성화 방향으로 설정돼 있지 않은 제도"
다만, 구성요소별로는 하드웨어 분야가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분야보다 기업 비중이 높고 대부분이 중소기업으로 이뤄져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서비스 분야의 기업 비중이 매우 낮아 시장이 거의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목할 점은 전문가들이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의 규모가 오는 2027년까지 1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반면, 국내 전망에 대해서는 이와 동일하지 않게 움직일 것으로 예측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국내 의료법과 의료제공체계, 건강보험 수가 지불 등 제도가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설정돼 있지 않다는 점이 있다.
이외에도 의료진간의 원격협진이 활성화되지 않으며 의료진과 환자 사이의 원격진료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 산업 성장에 필요한 의료데이터 인프라 구축과 활용이 미흡하다는 점도 원인으로 꼽혔다.
앞서의 미국의 경우, 낮은 의료서비스 접근성(긴 진료대기 시간 등)과 민간보험자 중심의 제도 하에서 원격의료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는 의료진간의 원격의료는 허용되지만 의사-환자간의 원격진료는 허용되지 않은 상황이다.
의료기관 및 환자 선택과 수용성 전제 필요, 손실에 대한 평가도
아울러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건강보험 수가 적용 및 등재 과정 등 관련 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R&D·임상시험·사업화 연계된 인프라 구축, 의료기기 인허가 등 관련 법 제도 개선, 디지털 헬스기술을 활용한 임상 적용 Workflow, R&R(Role and Responsibility) 수립, 세계 시장 진출 지원, 인력양성 및 유치 순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 헬스산업이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디지털 헬스 산업이 각 나라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측면이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특히 기술에 대한 의료기관, 환자들의 선택과 수용성이 전제돼야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모바일 헬스, 텔레헬스케어, DTC 유전자 검사, PHR 등은 해당 기술에 대한 최종 소비자(의료기관, 환자 등)의 선택과 수용성도 전제돼야 시장이 형성되고 산업화로 진행될 수 있다”며 “다만, 실제 산업의 효과가 의료기관이나 소비자에게 어떤 이득과 손실을 가져오는지에 대한 평가도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