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세고 오래가는 '바이오베터' 개발 경쟁 불붙다

바이오시밀러를 개선한 차세대 바이오베터 경쟁에 불이 붙었다.

최근 블록버스터 바이오신약들의 특허 만료가 임박해지면서 이들의 제네릭인 바이오시밀러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여기서 한 단계 나아가 개발 기업들은 약효의 지속시간을 늘리거나 투여 부위를 변경하는 등, 진보된 바이오베터 개발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바이오협회 지난 19 '바이오베터 기술 개발 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바이오경제연구센터 김지운 연구원과 제넥신 김기용 전무는 지속형 바이오베터의 우수성과 국내 바이오의약품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오베터란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유효성·안전성·편의성 등 기능성을 개선한 바이오의 자료제출의약품(개량신약)이라고 볼 수 있다. 오리지널 보다 약물의 선택성(Selectivity), 안정성(Stability), 면역원성(Immunogenicity), 반감기(Half-life) 등을 한 층 진보시킨 것이다. 특히 바이오베터는 새로운 기술이 접목돼 별도의 독자적인 특허로 보호받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캐나다 시장 조사기관 Emergen Research는 지난 2021년 기준 바이오베터 시장을 273 7,000만 달러로 추산했다. 연평균 성장률(CAGR) 30.7%, 다른 산업군 대비 높은 수치로 분석됐다.

최근 바이오베터 연구는지속성(Long-acting) 증가 또는면역원성(Immunogenicity) 감소를 중점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속성을 개선한 바이오베터 개발이 최종 승인까지 이어지며, 관련 기술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속성(Long-acting) 증가 연구는 폴리머(Polymer)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페길레이션(PEGylation)이나 과당화를 목적으로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을 만드는 형태인 당화(Glycosylation)반응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융합 단백질 기술(Fusion Protein) 및 폴리펩타이드 유전(Polypeptide genetic fusion) 기술에 기반을 둔 Ekylation, PASylation 등 혁신 기술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최근 상업화에 성공한 기술로, 약물의 체내 지속시간 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항체의 특정영역을 이용해 체내 지속 시간이 길고 다양한 치료 단백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오베터 허가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01 AMGEN(암젠)은 만성신장질환으로 인한 빈혈 치료제 EPOGEN의 반감기를 개선한 바이오베터 Aranesp FDA EMA에 승인받았다. 해당 제품은 당사슬공학(Glycoengineering) 기술이 적용됐다.

Roche(로슈)는 지난 2013 MabThera의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약물 동역학(PK) 기능을 향상시킨 백혈병 치료제 GAZYVARO를 개발했다. 해당 제품은 기존 3~4시간 소요되는 약물 주입시간을 90분으로 단축했다.

국내에서는 한미약품이 단백질 의약품의 반감기 늘려주는 Lapscovery(Long Acting Protein/ Peptide Discovery)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당뇨병, NASH 등의 적응증으로 연구개발 중이다. 현재 해당 기술이 적용된 다수 파이프라인은 글로벌 임상 후반 단계에 진입해 있다.

알테오젠은 체내 지속성을 증가시키는 NexP 기술을 기반으로 지속형 인성장 호르몬(Long-Acting Human Growth Hormone, hGH-NexPTM)을 개발 중이다. 현재 국내 임상 1b·2a, 인도 1b상이 완료됐고, 소아 임상 2상도 준비 중이다.

김지운 연구원과 김기용 전무는 보고서를 통해바이오베터는 신약만큼 성공 확률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지 않다. 또한 케미칼 의약품 대비 경쟁사의 진출이 어렵다라며국내 기업에서는 기존 의약품과 사용자 간의 언맷니즈(Unmet Needs)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콘셉트와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앞으로는 의약품 가격이 높은 수입 의약품에 공학기술(Engineering)을 접목한 개발, 사용자의 편의성 극대화, 혈액 뇌 장벽(Blood-Brain Barrier) 통과에 따른 약효 극대화 등이 바이오베터의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