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료제가 성인 주의력 결핍 완화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덕현 중앙대학교 교수는 24일 '성인 ADHD 디지털 임상 결과 발표 및 토론회'에서 “디지털 치료제가 주의력 결핍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을뿐 아니라 대상자 불안, 공격성
역시 호전시켰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임상을 통해 주의력 척도 점수 변화와 다른 척도 간의 점수 변화가 유의한 관련성을 보임을 확인했다. 주의력 결핍 완화가 다른 심리 변화의 유용한 조절 인자가 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임상에 활용된 디지털 치료제는 게임 요소와 인지행동치료 요소를 결합해 만든 게임이다. 기억하기, 글씨 따라쓰기, 달리기
그리고 비행기 게임 등으로 구성했다. 주의력에 문제가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적용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디지털 치료제가 초기 시장인 만큼 정부 차원 지원과 관련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혁태 한국콘텐츠진흥원 팀장은 “디지털 치료제 개발은 민간 차원에서만
접근하기에는 부담감이 클 것”이라며 “국가 차원에서 과감한
장기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박주호 눅스바이오 대표는 “제약의 경우 신약을 개발하는데 많은 자원이
들고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신약 승인 시 시장 독점권을 준다"며 "디지털 치료제는 보호 장치가 없는 관계로 개발 리스크가 존재할 뿐 아니라 투자 환수를 통한 선순환이
불가능하다. 제도적 보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 치료제 건강보험 적용과 특허권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장준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부장은 “건강보험 적용과 관련해서 올해 구체적인
등재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것”이라며 “비용 효과성과 환자
사용율을 보고 정식등재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인경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현 시점에서 특허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자체, 의료 행위 방법만으로는 특허 성립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 결합과 시스템 발명 측면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특허권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