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육종•바코드 미생물…'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생명공학연구원, 26 발표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 바코드 미생물 등이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표했다. 해당 기술들은 바이오 정보 포털사이트 ‘바이오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향후 5~10년 이내 기술적 또는 산업적으로 실현이 기대되는 기술이다.

올해 선정된 10대 기술인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은 수십만 개 이상의 DNA와 리보핵산(RNA) 분자에 담긴 염기서열 정보를 보다 길게, 높은 정확도로 해독하는 기술이다. 기존 시퀀싱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염색체 단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 탐색과 고품질 유전체 지도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정밀의료의 핵심인 개인 유전체 시퀀싱에 대한 수요와 시장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해 주목받는 기술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을 표적으로 한 항암백신‘도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됐다. 항암백신의 표적이 되는 신생항원이 적게 존재해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일부 난치성 암에 대해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전환과 합성생물학 패러다임이 반영된 글로벌 난제 해결 기술들도 선정됐다. 그린바이오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은 유전체 분석 및 AI 기술을 활용해 더위, 가뭄과 같은 기후변화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바코드 미생물‘ 기술은 합성생물학을 응용해 무해한 미생물에 특정 DNA 서열(DNA 바코드)을 삽입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출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바이오 제품 유통, 감염병 추적, 범의학 등에 널리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경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고령화, 감염병, 기후변화 등 글로벌 난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정밀/맞춤, 재생, 지속가능 이라는 미래비전도 제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유망기술 발굴과 전략적 투자 강화 및 글로벌 선도국과의 협력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