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병리 수가 개선으로 ‘개인 맞춤형 치료 실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정찬권 교수가 19일 대한병리학회와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주최로 서울 강남 루닛 본사에서 열린 디지털병리 정책간담회서디지털병리, 가장 먼저 고려할 것은?’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약업신문

디지털병리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의료수가 체계 개선과 데이터 저장 및 공유 개선을 위한 국가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디지털병리는 암 환자 의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의료진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지만 시스템 도입에 막대한 예산이 필요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대한병리학회와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19일 서울 강남 루닛 본사에서디지털병리, 대한민국 암 관리에 앞장섭니다를 주제로 정책간담회를 개최하고 디지털병리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디지털병리란 검체를 유리 슬라이드에 얹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던 기존 병리를 디지털 스캐너를 이용해 병리학적 슬라이드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해 저장하고 그 이미지를 병리학적 진단에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디지털병리 진단 시스템은 2019년 이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지만 시스템이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로, 병원 10곳 중 6곳은 디지털병리 시도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정찬권 교수는디지털병리에 적절한 보상체계가 없어 도입이 어렵고 도입한 병원도 유지와 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디지털병리의 도입으로 의료진의 업무 효율이 향상되고 빠르고 정확한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지만 이런 이점을 누리기 위해선 디지털병리 시스템이 완전히 갖춰져야 한다디지털 전환이 완벽하게 이뤄지면 효율성이 향상되고 진단 시간이 단축되면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디지털병리는 용량이 크고, 기존 의료 정보와는 차별화된 형식을 가지고 있어 병원 간의 의료 데이터 활용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려면 관련 IT 기술의 원활한 활용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 차원에서 디지털병리의 의료 수가 체계를 개선하고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과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뒷받침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 교수는디지털병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료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환자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것이라며병원 시스템은 모두 연관돼 있어 디지털병리로 새로운 가치 창출을 이뤄낼 수 있다고 말했다.

병리진단의 디지털화로 환자 개인의 의료 정보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일생의 암 관리도 가능하다고 의료계는 보고 있다.

서울대학병원 병리과 이경분 교수는고령화 사회에 암 발생이 증가하고 완치 후에도 전이하는 암이나 다른 종류의 암이 발생하는 빈도가 늘면서 환자 개인의 디지털병리는 중요한 의료 정보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디지털병리의 이점을 소개했다그는병리학회는 최소 5년 이상 유리 슬라이드 보관 및 블록 보관을 의무로 규정하고 있으나, 유리 슬라이드는 시간이 지날수록 색이 변하고, 장소의 제한으로 기관 외부에 보관하는 경우 회수에 1주일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면서디지털병리는 유리 슬라이드보다 접근과 보관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교수는 디지털병리는 공유할 때 유용성이 극대화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디지털병리는 한 병원에 있을 때는 유용성이 반밖에 안되지만 각 기관이 그 자료를 공유하면 환자 평생의 암 관리에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환자의 디지털병리 자료를 공유해 다수의 전문가에게 받은 자문을 종합해 진료에 접목하면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

이 교수는디지털병리는 경영적 측면에서만 도입하기엔 비용이 높은 시스템이지만 여러 기관이 도입해 자료를 공유하고 플랫폼으로 전환한다면 환자의 의료 정보 가치를 높여 우리나라 사망 1위인 암 치료와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아직 대체되지 않은 아날로그 병리를 디지털로 대체하는 게 전반적인 의료 시스템 디지털화의 완성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