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에 진입하며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디지털치료제에 대한 소개와 약사 역할 등이 경기약사학술제에서
조명됐다.
디지털치료제는 질병을 예방, 관리,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이 아닌 의료기기로 해외에서는 이미 약물중독이나 불면증, 치매, 인지장애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암, COPD, 근감소증, 시각장애, 치매
등과 관련한 디지털치료제를 개발 중에 있다.
김지원 약사는 "디지털 치료제의 경우 경구, 피부흡수, 정맥주사 등 생화학 제제가 아닌 게임, 가상현실,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단독 또는 디지털 기기에
탑재해 사용하며 기존 치료제에 비해 개발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부작용 역시 매우 낮은 특성이 있다"며 "24시간 실시간 환자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데이터를 수집·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해외에서는 제2형당뇨, 암, 심뇌혈관, 조현병, 자폐증, 약물중독, 우울증·불면증, 알츠하이머·치매, 트라우마·공황장애, 금연, 통증
등에 폭넓게 디지털치료제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
그는 "디지털 치료제가 각광받는 이유는 크게 ▲산업동향 ▲정책동향 ▲코로나19로 압축할 수 있다"며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가 웰니스 중심에서 질환 관리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건강관리앱은 73%에서 60%로 감소한 반면, 질환 관리
앱은 10%에서 16%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빠른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용 증가, 보건의료 재정고갈에 대응하기 위한
관심 상승, 정부 R&D 투자 증가 추세, 비대면이 대세를 이룬 코로나19 팬데믹도 디지털 치료제 역할을 부상시키는
요인이 됐다는 설명이다.
디지털 치료제는 치료 방식에 따라 ▲인지행동치료 방식의 디지털 치료제(약물중독-reSET, 불면증-Sleepio)
▲생활 습관을 관리하는 디지털 치료제(치매-슈퍼브레인) ▲신경 재활치료를 활용한 디지털 치료제(ADHD-EndeavorRx, 뇌손상후
시야장애-뉴냅비젼) 등으로 구분된다.
김 약사는 "다만 디지털치료제의 경우 꾸준히 사용하기 어렵고, 고연령층의 사용률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며 "부작용이 낮은 대신 효과까지 오래 걸리고 규제체계나 안전성 관리기준 등이 미비한 것도 현재 한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임상, 인허가, 보험, 의사처방, 환자사용 단계에 있어 ▲효용·가치를 어떻게 증명할지 ▲치료제의 안정성
관리기준을 어떻게 관리할지 ▲수가를 받을 수 있는지 ▲기존
약 대비 어떤 장점이 있는지 ▲복약이행도, 지속사용률, 노년층의 사용 등에 대해서는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등을 앞으로 증명해야 하며, 꾸준한 사용을 위한 복약순응도가 앞으로의 해결 과제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약사는 "약국은 병원에 비해 접근이 편리하고 친밀감도
있으면서 전문지식을 가진 약사까지 있는 특수한 공간이자 약물, 건기식, 영양상담 등을 한번에 할 수 있는 종합헬스케어 공간이라는 점에서 최적의 장소"라며 "약사들이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통역사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는 곧 데이터를 기반한 맞춤형 건강상담이 가능해 지는 것을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기존에는 생활습관관리 측면을 가이드하는 측면이었다면, 디지털치료제 활용이 보편화될 경우 소비자 만족도도, 효과와 근거도
올라갈 것"이라며 "디지털치료제가 약사
직능을 확대하고 약국의 약료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