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치료제 발전 빠르고 의사들 적극 참여 필요"

“디지털치료제의 괄목할 만한 발전 속에서 의사들이빨간약을 먹어야 하는 순간이 왔다. 의사 중심 의료에서 환자 중심 의료로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는데 단순히 시장성만 논할 때가 아니다.”

이계화 교수(서울아산병원 정보의학과)는 영화 매트릭스에서 빨간약을 먹고 이전에 몰랐던 것을 알게 되는 상황에 비유하면서의사들이 디지털치료제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적극 참여·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10일 열린 2022년 한국건강학회(이사장 윤영호) 춘계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소신을 밝혔다.

이 교수는요즘 디지털치료제와 관련해 규제·사업적 측면 논의만 많이 나오는 것이 아쉬웠다환자 건강권 실현 장치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말하고 싶다고 계기를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근래 디지털 헬스케어가 부상하면서 의료 패러다임이 환자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이 교수는전통 의료모델에 익숙한 의사들이 빠른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일종의 소외를 당하고 있다의사 파트너인 환자들까지 소외된다면 정말 문제라고 지적했다.

규제정책 변화의사·개발자 따라가고 적응하는 구조

정부가 파격적으로 규제혁신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국의 경우 디지털치료제 특허 출원 수 및 FDA 임상시험 건수는 2017년 이래 급증하고 있다.

그러면서 정책이 먼저 앞서나가고 산업계와 의료계가 이를 배우면서 따라가는 구조가 형성돼 있다는 것이다.

국내 상황도 향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규제혁신과 원격의료 등 의제가 남아있지만 뉴냅스·에임메드·라이프시맨틱스 등 다수 국내 업체도 디지털치료제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이 교수는 이에 대해정책은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데 정작 의료진과 개발자 등 내부 실무자들이 준비가 되지 않았다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디지털치료제가 환자 건강권을 실현하는 진정한 도구로 기능하기 위해 실무자들은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 할까.

"의사, 적극 참여·소통해서 환자 건강권 실현 기여 필요"

이 교수는자율성·위해 방지·공평한 기회 제공 등을 환자 건강권 실현 척도로 삼는다면 자율성 존중부터 장벽에 부딪힌다고 말했다.

이어법률로 보장된 권리라고 해도 의료진과 환자 사이 정보 격차가 커 환자는 의사 의견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사실상 환자가 소외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그는 의사들부터 적극적으로 해당 분야에 나서야 한다고 피력했다. 디지털치료제 소프트웨어 자체에 오류가 있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디지털치료제를 쓰더라도 환자와 의료진이 적극 소통하지 않으면 환자에게 위해를 끼칠 수 있다어떻게 규제를 우회하느냐, 이득을 내느냐의 문제보다 우리는 훨씬 큰 도전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환자들 자율성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맞아 의사들의 철학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기라며이 도전에 성공한다면 향후 디지털치료제로 인해 진료 지속성이 개선되고, 시공간 제약도 극복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